본문 바로가기

상생협력

삼성디스플레이는 협력회사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동반 파트너로서 함께 발전하기 위해 다양한 상생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서로 손을 모으고 있는 이미지입니다.

지속가능한
공급망 운영

삼성디스플레이는 건전한 기업 생태계와 지속가능한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해 협력회사들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협력회사와 함께 공정성, 개방성, 상생의 철학을 바탕으로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등 상생을 위한 비전을 구축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공정하고 투명한 신규 협력회사 등록 프로세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매년 정기적인 평가를 통해 협력회사 경쟁력을 강화하고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소 협력사들을 대상으로 R&D 자금,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동반성장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상생의 길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톱니바퀴 모양을 손에 쥐고 서로 맞추는 것처럼 한 곳에 모은 이미지입니다.
빌딩을 올려 보는 이미지입니다. 중앙에는 동반성장지수 평가, 5년연속 최우수 등급 메시지가 보입니다.

동반성장
‘최우수 명예기업’ 선정

삼성디스플레이는 2018년부터 ‘동반성장지수 평가’에서 5년 연속으로 최우수 등급을 획득하여 ‘최우수 명예기업’에 선정되었습니다. ‘동반성장지수 평가’는 대·중소기업 간 동반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상생 협력, 공정거래, 협력 기업의 체감도 등을 평가해 동반성장 수준을 산정하는 제도로 지난 2011년부터 시행해 왔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중소 협력사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동반성장 프로그램을 운영해 건전한 상생 경영과 협력사와의 지속적인 동반성장을 추구해 나가고 있습니다.

건물 설계 화면이 켜진 태블릿을 들고 있는 남성의 이미지입니다.

크레파스 제도

삼성디스플레이의 대표적 상생 프로그램 중 하나인 ‘크레파스(CrePas: Creative Partnership)’는 아이디어와 기술력을 가진 중소 기업에게 기술과 R&D 자금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2010년부터 시행된 제도로, 정부와 함께 최대 10억원을 중소기업에 연구자금으로 무상 지원하고, 필요한 기술도 지도하는 등 현재까지 중소협력사의 89개 과제에 595억원을 지원해 왔습니다.

‘크레파스’제도는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과 기술력이 세계 최고가 되기 위한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데 기여했을 뿐 아니라, 소규모 신생 업체들에게도 지속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 등 상생협력을 위한 기틀을 마련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를 통해 2016년 공정거래위원회 협약 우수사례로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양 손으로 퍼즐의 조각을 맞추고 있는 이미지입니다.

상생펀드 & 물대지원펀드

삼성디스플레이는 자금 운용에 어려움을 겪는 협력회사를 대상으로 ‘상생펀드’와 ‘물대지원펀드’를 조성해 자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2017년부터 협력회사 약 100개사에 총 5000억 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시설투자 및 연구개발 자금, 운전자금 등 필요한 용도에 따라 이용가능한 자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상생펀드는 협력사의 운전자금, 시설투자 자금, 연구개발자금 등 협력사의 필요 용도에 따라 이용 가능한 저리대출지원 제도로 1차~3차 협력사까지 이용 가능합니다. 물대지원펀드는 협력사간 건전한 대금결제 문화 확산을 위해 시행중인 제도로, 1-2차사간(또는 2-3차사간) 대금 지급 조건을 30일 이내 상생결제 또는 현금 지급으로 개선 시 필요자금을 전액 무이자로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스마트공장구축 지원사업

삼성디스플레이는 중소벤처기업부와 함께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지원 사업’을 진행하며 5년간 최대 100억원 규모로 협력사의 제조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2018년부터 시작해 올해로 5년째를 맞고 있는 이 지원 사업은 현재까지 총 78개사에 48억원을 지원해 왔습니다. 스마트공장 구축지원 사업은 협력 기업의 생산 전 과정을 시스템화하여 제조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상생 프로그램이며, 삼성디스플레이는 제조 공정 노하우 멘토링 및 시스템 구축을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협력사들은 공정 불량률 감소, 재고 비용 절감 등 주요 생산 효율측면에서 이전보다 30~40% 정도의 개선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협력사의 스마트공장 수준을 고려한 단계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협력회사가 강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운영해 나갈 계획입니다.

공정안에서 직원이 제품을 보고 이야기하는 이미지입니다.

협력회사
행동규범 및 가이드

삼성디스플레이는 RBA 행동규범을 반영하고 업데이트 된 내용을 협력회사와 공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행동규범을 준수하고 준법경영을 실천하도록 행동규범 가이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운로드
검은색의 작은 광물들을 양손에 들고 있는 모습입니다.

책임 광물 소싱

삼성디스플레이는 “OECD에서 제시한 분쟁지역 광물의 책임 있는 공급망에 대한 실사지침(OECD Due Diligence Guidance for Responsible Supply Chains of Minerals from Conflict-Affected and High-Risk Areas)”를 기반으로 광물 관리 체계를 운영하고 있고, 당사와 거래하는 협력회사가 RMAP(Responsible Minerals Assurance Process) 인증을 받은 제련소와 거래하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공급망 내 미인증 제련소는 인증을 받도록 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삼성디스플레이는 광물 채굴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인권침해, 환경파괴 등 사회와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제련소 리스트를 포함한 책임광물 관리보고서를 고객사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적극적으로 공유하고 있습니다.

다운로드

제련소 및
정련소 리스트

분쟁광물 제련소 RMAP 인증현황

(2021년말 기준 100% 인증)

237개사
  • Gold
  • Tantalum
  • Tin
  • Tungsten

(단위 : 개사)

101
(Gold)
38 탄탈륨
(Tantalum)
51 주석
(Tin)
39 텅스텐
(Tungsten)
  • 공급망 내 광물 및
    사용제련소 정보 확인

    삼성디스플레이는 RMI(Responsible Minerals Initiative)의 RMAP(Responsible Minerals Assurance Process) 인증을 취득한 제련소 및 정제소에서 공급한 대상 국가의 광물을 제외하고는, 비윤리적으로 채굴되는 분쟁광물의 사용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이에 CFS(Conflict Free Smelter) 인증을 획득한 제련소 및 관련 자재 목록을 관리하고 매월 전 공급 자재에 대해 점검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매년 3TG(탄탈륨, 주석, 텅스텐, 금)를 공급하는 모든 제련소를 확인하며, 협력회사의 CMRT 제출 정보를 기반으로 분쟁광물 사용 현황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 공급망 내
    위험요소 확인 및 평가

    삼성디스플레이는 분쟁광물 관리 실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관리하고 있습니다. 미인증 제련소와 거래하는 협력회사에는 미인증 제련소와의 거래중지를 요청하고, 거래중지 요청 이후에도 협력회사가 해당 제련소와 지속적으로 거래할 시, 물량 감소와 거래종료를 검토합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제품에 사용되는 분쟁광물을 엄격히 관리하여 윤리적인 유통과정을 거친 제품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고도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입니다.

  • 개선계획 수립

    삼성디스플레이는 제품에 사용되는 분쟁광물을 엄격히 관리하여 윤리적인 유통과정을 거친 제품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고도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입니다.

다운로드
NEWSLETTER 구독신청